스위스의 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는 26개의 주(칸톤)로 구성된 연방 국가이다. "칸톤"이라는 용어는 15세기 후반부터 사용되었으며, 각 주는 자체 헌법, 의회, 정부, 사법부를 가지며 연방에 위임된 권한을 제외한 모든 권한을 행사한다. 스위스 연방 헌법은 주의 주권을 보장하며, 각 주는 자체적인 정부 형태를 갖추고 있다. 16세기 구 스위스 연방은 13개의 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의 26개 주로 정착되었다. 1848년 연방 국가 수립 이후, 주들은 광범위한 자치권을 유지하면서도 연방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반주(Half-cantons)는 국무원 의원 수 및 국민 투표에서 다른 주와 다른 방식으로 취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위스의 주 | |
---|---|
스위스 주 | |
![]() | |
개요 | |
유형 | 연방 국가 |
상위 단위 | 지역 |
영토 | 스위스 |
시작일 | 13세기 |
현재 개수 | 26개 주 |
개수 날짜 | 1999년 |
인구 범위 | 16,003명 (아펜첼이너로덴주) – 1,487,969명 (취리히주) |
면적 범위 | 37 km² – 7,105 km² |
정부 | 스위스 주의회 목록 |
하위 행정 구역 | 구 및 시정촌 |
정치 | |
주의회 | 스위스 주의회 목록 |
주정부 | 스위스 주 정부 목록 |
란츠게마인데 | 직접 민주주의 총회 |
주 목록 | |
주 | 아펜첼아우서로덴 (AR) 아펜첼이너로덴 (AI) 아르가우 (AG) 바젤란트 (BL) 바젤슈타트 (BS) 베른 (BE) 프리부르 (FR) 제네바 (GE) 글라루스 (GL) 그라우뷘덴 (GR) 쥐라 (JU) 루체른 (LU) 뇌샤텔 (NE) 니트발덴 (NW) 옵발덴 (OW) 샤프하우젠 (SH) 슈비츠 (SZ) 졸로투른 (SO) 장크트갈렌 (SG) 티치노 (TI) 투르가우 (TG) 우리 (UR) 발레 (VS) 보 (VD) 추크 (ZG) 취리히 (ZH) |
시정촌 | |
시정촌 목록 | 아르가우 아펜첼이너로덴 아펜첼아우서로덴 바젤란트 바젤슈타트 베른 프리부르 제네바 글라루스 그라우뷘덴 쥐라 루체른 뇌샤텔 니트발덴 옵발덴 샤프하우젠 슈비츠 졸로투른 장크트갈렌 투르가우 티치노 우리 발레 보 추크 취리히 |
2. 용어
"칸톤(canton)"이라는 용어는 현재 다른 국가의 행정 구역을 가리키는 영어 용어로도 사용되지만, 15세기 후반 프랑스어(중세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1467년 프리부르에서 기록됨),[5] 당시 "가장자리, 모퉁이"를 뜻하는 단어였다. 이는 초기 고지 독일어(Early Modern High German)의 Ort|오르트de의 직역이었다.[6]
"칸톤(canton)"이라는 용어는 15세기 후반 프랑스어(중세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1467년 프리부르에서 기록됨),[5] 당시 "가장자리, 모퉁이"를 뜻하는 단어였다. 이는 초기 고지 독일어 ortde의 직역이었다.[6] 1490년 이후, canton프랑스어은 스위스 연방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데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 문서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3] 스위스 연방을 가리키는 영어 용어 "칸톤(canton)"(문장학적 의미와는 대조적으로)의 사용은 17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7]
1490년 이후, canton|칸톤프랑스어은 스위스 연방의 구성원을 가리키는 데 프랑스어 및 이탈리아어 문서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3] 스위스 연방을 가리키는 영어 용어 "칸톤(canton)"(문장학적 의미와는 대조적으로)의 사용은 17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7]
구 스위스 연방에서는 15세기 초부터 Ort|오르트de(복수: Orte|오르테de)라는 용어가 구성원 칸톤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3]
Ort|오르트de는 1550년경 Stand|슈탄트de(복수: Stände|슈텐데de) '계급'으로 점차 대체되었는데, 이 용어는 자유와 주권을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헬베티아 공화국에서 폐지되었지만, 'Stand'라는 용어는 1815년에 부활하여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3][9]
독일어로 채택된 프랑스어 용어 canton|칸톤프랑스어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에 사용되었지만, 19세기 초까지는 가끔 사용되었다. Ort|오르트de와 Stand|슈탄트de의 두드러진 사용은 헬베티아 공화국 시대부터 독일어권 스위스에서 점차 사라졌다. 독일어 Kanton|칸톤de이 공식 명칭이 된 것은 1803년 중재법이 제정된 이후이며, 1848년 스위스 헌법에도 유지되었다.[3][10]
Stand|슈탄트de(état|에타프랑스어, stato|스타토it)라는 용어는 여전히 동의어로 사용되며, 스위스 의회 상원인 연방원(Ständerat|슈텐데라트de, Conseil des États|콩세유 데 제타프랑스어, Consiglio degli Stati|콘실리오 델리 스타티it, Cussegl dals Stadis|쿠셀 달스 스타디스rm)의 명칭에도 반영되어 있다.
19세기 중반까지는 독자적인 군대와 통화를 가진 주권 국가였으며, 현재의 연방 제도는 1848년에 수립되었다. 스위스의 행정 구역은 26개의 주(州)(독일어: Kanton|칸톤de, 프랑스어: canton|칸톤프랑스어, 이탈리아어: cantone|칸토네it, 로만슈어: chantun|찬툰rm)로 구성된다.
주(州, Kanton) 문제에 대해 주민총회에 의한 직접 민주주의(直接民主制)를 채택하는 것은 아펜첼이너로덴 준주와 글라루스주뿐이며, 다른 주(州, Kanton)는 투표를 사용하고 있다.
새로운 주(州, Kanton)의 설립은 1978년의 주라주가 마지막이다.
주(州, Kanton)의 수는 23개로 세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운터발덴 주, 아펜첼 주, 바젤 주에 있는 준주(半州)는 절반으로 계산한다.
3. 역사
구 스위스 연방에서는 15세기 초부터 Ortde(복수: Ortede)라는 용어가 구성원 칸톤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3] 특히 창립 칸톤은 Waldstättede '숲 정착지'(단수: Waldstattde)로도 알려져 있었다. Ortde는 1550년경 Standde(복수: Ständede) '계급'으로 점차 대체되었는데, 이 용어는 자유와 주권을 암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헬베티아 공화국에서 폐지되었지만, 'Stand'라는 용어는 1815년에 부활하여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3][9]
독일어로 채택된 프랑스어 용어 canton프랑스어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에 사용되었지만, 19세기 초까지는 가끔 사용되었다. Ortde와 Standde의 사용은 헬베티아 공화국 시대부터 독일어권 스위스에서 점차 사라졌다. 독일어 Kantonde이 공식 명칭이 된 것은 1803년 중재법이 제정된 이후이며, 1848년 스위스 헌법에도 유지되었다.[3][10]
Standde(état프랑스어, statoit)라는 용어는 여전히 동의어로 사용되며, 스위스 의회 상원인 연방원(Ständeratde, Conseil des États프랑스어, Consiglio degli Statiit, Cussegl dals Stadisrm)의 명칭에도 반영되어 있다.
1848년 뇌샤텔이 공국이었던 시대가 끝난 이후, 모든 스위스 칸톤은 공화정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칸톤은 헌법에서 스스로를 공식적으로 공화국으로 묘사하는데, 이는 특히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칸톤에 적용된다. 제네바(공식적으로 République et canton de Genève프랑스어, '제네바 공화국 및 칸톤'), 주라, 뇌샤텔, 발레,[11] 보[12] 및 티치노[13]가 이에 해당한다.
3. 1. 16세기 ~ 19세기
16세기 구 스위스 연방은 13개의 주권을 가진 연합 동맹국(13개 주; Die Dreizehn Alten Orte|디 드라이첸 알텐 오르테de)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의 농촌 주(Länder|랜더de)와 8개의 도시 주(Städte|슈테테de)로 나뉘었다. 농촌 주는 우리, 슈비츠(연방의 동명이명이 됨), 운터발덴, 글라루스, 아펜첼이었고, 도시 주는 취리히, 베른, 루체른, 추크, 바젤, 프리부르, 솔로투른, 샤프하우젠이었다.
이들은 기술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지만, 1499년 도르나흐 전투에서 스위스가 막시밀리안 1세 황제를 패배시키면서 사실상 독립했다.[14]
근세 초기, 개별 연합 동맹국들은 공화국으로 여겨졌다. 6개의 전통적인 동맹국은 ''란츠게마인데'' 형태의 직접 민주주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지만, 도시 주들은 시의회에서의 대표제를 통해 운영되었고, 사실상 귀족 가문이 지배하는 과두정치 체제였다.[15]
1798년 프랑스의 스위스 침공 이후 헬베티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구체제는 폐지되었다. 헬베티아 공화국의 주들은 주권이 없는 행정 구역의 지위만을 가졌다. 헬베티아 공화국은 5년 만에 붕괴되었고, 1803년 중재법으로 주권이 회복되었다. 당시 스위스는 19개 주(근세 초기 13개 주에 산 갈렌, 그라우뷘덴, 아르가우, 투르가우, 티치노, 보 등 이전 동맹국과 속령으로 구성된 6개 주 추가)를 포함하는 연방 국가 지위가 회복되었다. 1815년에는 발레, 뇌샤텔, 제네바 등 세 개의 서부 주가 추가로 가입했다.
1830년에 완료된 "복구" 과정은 이전의 봉건적 권리를 주 귀족들에게 대부분 반환하여 농촌 인구의 반란을 야기했다. 새로운 연방 헌법을 요구하는 민주 세력을 구현한 급진주의자들은 이러한 민주 세력을 구현했다. 이러한 긴장은 종교 문제("예수회 문제")와 결합하여 1840년대에 단기간의 존더분트 전쟁으로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자유주의 급진주의자들의 승리는 1848년 연방 국가로서의 스위스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주들은 광범위한 주권을 유지했지만, 개별 상비군이나 국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서유럽에서 1848년 혁명이 다른 곳에서는 실패했던 것과 달리, 스위스는 19세기 후반(그리고 프랑스 제3공화국을 제외하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프랑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의 복원된 군주국들에 둘러싸인 고립된 민주 공화국으로 자리 잡았다.
3. 2. 존더분트 전쟁과 연방 국가 수립 (1847-1848)
1830년에 완료된 "복구" 과정은 이전의 봉건적 권리를 주 귀족들에게 대부분 반환하여 농촌 인구의 반란을 야기했다. 새로운 연방 헌법을 요구하는 민주 세력을 구현한 급진주의자들은 이러한 민주 세력을 구현했다. 이러한 긴장은 종교 문제("예수회 문제")와 결합하여 1840년대에 단기간의 존더분트 전쟁으로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자유주의 급진주의자들의 승리는 1848년 연방 국가로서의 스위스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주들은 광범위한 주권을 유지했지만, 개별 상비군이나 국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서유럽에서 1848년 혁명이 다른 곳에서는 실패했던 것과 달리, 스위스는 19세기 후반(그리고 프랑스 제3공화국을 제외하고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프랑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의 복원된 군주국들에 둘러싸인 고립된 민주 공화국으로 자리 잡았다.
3. 3. 현대
16세기 구 스위스 연방은 13개의 주권을 가진 연합 동맹국(13개 주; Die Dreizehn Alten Ortede)으로 구성되었으며, 우리, 슈비츠, 운터발덴, 글라루스, 아펜첼의 5개 농촌 주(Länderde)와 취리히, 베른, 루체른, 추크, 바젤, 프리부르, 솔로투른, 샤프하우젠의 8개 도시 주(Städtede)가 있었다.[14] 이들은 기술적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였지만, 1499년 도르나흐에서 스위스가 막시밀리안 1세 황제를 패배시키면서 사실상 독립하게 되었다.[14]
개별 연합 동맹국들은 공화국으로 여겨졌는데, 6개의 전통적인 동맹국들은 ''란츠게마인데'' 형태의 직접 민주주의 전통을 가지고 있었지만, 도시 주들은 시의회에서의 대표제를 통해 운영되었고, 사실상 귀족 가문이 지배하는 과두정치 체제였다.[15]
1798년 프랑스의 스위스 침공 이후 헬베티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구체제는 폐지되었다. 헬베티아 공화국의 주들은 주권이 없는 행정 구역의 지위만을 가지고 있었다. 헬베티아 공화국은 5년 만에 붕괴되었고, 1803년 중재법으로 주권이 회복되었다. 당시 19개 주(산 갈렌, 그라우뷘덴, 아르가우, 투르가우, 티치노, 보)를 포함하여 스위스의 연방 국가 지위가 회복되었으며, 1815년에 발레, 뇌샤텔, 제네바가 추가로 가입했다.
1830년에 완료된 "복구" 과정은 이전의 봉건적 권리를 주 귀족들에게 대부분 반환하여 농촌 인구의 반란을 야기했다. 새로운 연방 헌법을 요구하는 민주 세력을 구현한 급진주의자들은 이러한 민주 세력을 구현했다. 이러한 긴장은 종교 문제와 결합하여 1840년대에 단기간의 존더분트 전쟁으로 무력 충돌로 이어졌다. 자유주의 급진주의자들의 승리는 1848년 연방 국가로서의 스위스의 수립으로 이어졌다. 주들은 광범위한 주권을 유지했지만, 개별 상비군이나 국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
4. 헌법 및 권한
스위스 연방헌법[16]은 연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한, 각 주는 주권을 갖는다고 명시하고 있다.[17] 연방 정부의 권한은 군대, 통화, 우편, 통신, 이민, 망명, 외교, 민형사법, 도량형, 관세 등으로 제한된다.
각 주는 자체 헌법, 입법부, 행정부, 치안 및 사법부를 가진다.[17] 주는 연방 정부와 마찬가지로 이사회 제도를 따른다. 주는 연방 헌법이나 법률에 의해 연방 정부에 위임되지 않은 모든 권한을 보유한다. 특히, 보건 의료, 복지, 치안, 공교육을 담당하고 조세 권한을 가진다. 각 주는 공식 언어를 지정할 수 있으며, 다른 주나 외국과 조약을 체결할 권한도 가진다(연방 헌법 제48조 및 제56조).
주 헌법은 주의 내부 조직을 결정하며, 여기에는 지방자치단체에 부여되는 자치권의 범위도 포함된다.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은 주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세금 부과 및 지방 법률 제정 권한을 포함한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자체 경찰을 보유하기도 한다.
스위스 시민은 특정 지방자치단체(출신지)와 그 지방자치단체가 속한 주의 시민이다. 주는 시민권 부여(귀화)에 대한 요건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실제 과정은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연방법의 적용을 받는다.
스위스는 연방 공휴일이 단 하나(8월 1일)뿐이며, 다른 공휴일은 주마다 다르다.
4. 1. 주 정부와 의회
스위스 연방헌법[16]은 주의 주권이 연방법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한, 주는 주권을 갖는다고 선언한다.[17] 연방에 특별히 보유된 영역은 군대, 통화, 우편 서비스, 통신, 국내외 이민, 망명 허가, 주권 국가와의 외교 관계 수행, 민사 및 형사법, 도량형 및 관세이다.각 주는 자체 헌법, 입법부, 행정부, 스위스의 치안 및 사법부를 가지고 있다.[17] 연방과 마찬가지로 주는 이사회 제도의 정부를 따른다.
주 의회는 58석에서 200석까지 크기가 다양한 단원제 의회이다. 일부 의회에는 ''랜즈게마인데''로 알려진 일반 주민 집회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었었다. 이러한 입법 형태의 사용은 감소하여 현재는 아펜첼 인네르로덴주와 글라루스주에서만 존재한다. 주 행정부는 주에 따라 5명 또는 7명으로 구성된다.[18] 기관 이름은 주정부 목록과 주 의회 목록을 참조한다.
주는 연방 헌법 또는 법률에 의해 연방에 위임되지 않은 모든 권한과 권능을 유지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주가 보건 의료, 복지, 치안, 공교육을 담당하고 스위스의 조세 권한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각 주는 공식 언어를 정의한다. 주는 다른 주뿐만 아니라 외국과도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연방 헌법 제48조 및 제56조).
주 헌법은 주의 내부 조직을 결정하는데, 여기에는 지방자치단체에 부여된 자치의 정도가 포함되며, 이는 다양하지만 거의 항상 세금 부과 및 지방 법률 통과 권한을 포함한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는 자체 경찰이 있다.
연방 수준과 마찬가지로 모든 주는 어떤 형태의 직접 민주주의를 제공한다. 시민은 주 헌법 또는 법률을 개정하거나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 또는 지출 법안을 거부하기 위해 국민 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 아펜첼 인네르로덴과 글라루스의 일반 주민 집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밀 투표로 민주적 권리가 행사된다. 외국인 투표권은 주에 따라 다르며, 해외 거주 스위스 시민(주에 투표 등록)이 주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도 주에 따라 다릅니다.
스위스 시민은 특정 지방자치단체(출신지)와 그 지방자치단체가 속한 주의 시민이다. 따라서 주는 시민권 부여(귀화)에 역할을 하고 요건을 설정하지만,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수행되며 연방법의 적용을 받는다.
4. 2. 직접 민주주의
시민들은 주 헌법이나 법률을 개정하거나 의회가 통과시킨 법률 또는 지출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기 위해 국민 투표를 요구할 수 있다. 아펜첼 인네르로덴주와 글라루스주의 일반 주민 집회를 제외하고, 민주적 권리는 비밀 투표로 행사된다. 외국인 투표권은 주마다 다르며, 해외 거주 스위스 시민(주에 투표 등록)이 주 투표에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도 주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16]5. 반주(Half-cantons)
1999년 스위스 연방 헌법 개정과 함께 반주(半州)법이 폐지되면서 주의 독자성을 인정받게 되었지만, 기존 주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반주는 연방평의회에 대표를 1명만 보낼 수 있으며(다른 주는 2명), 투표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34]
반주가 존재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주마다 다르다.
- 옵발덴주와 니트발덴주: "운터발덴 주"로 존속하였지만, 지리적 문제 및 나폴레옹 시대 헬베티아 공화국 연방 가입 문제 등으로 갈라졌다.
- 바젤슈타트주와 바젤란트주: "바젤 주"로 존속하였으나 도시와 농촌 간의 문제, 바젤란트주의 독립 요구로 갈라졌다.
- 아펜첼이너로덴주와 아펜첼아우서로덴주: "아펜첼 주"로 존속하였다가 1597년 스위스 종교 개혁 때 가톨릭교도가 많은 아펜첼이너로덴주와 개신교도가 많은 아펜첼아우서로덴주로 나뉘었다.[33]
1848년 이후 반주는 다음 두 가지를 제외하고는 다른 주와 동등하다.[34]
- 국무원에 두 명의 의원 대신 한 명의 의원만을 선출한다(헌법 제150조 2항).
- 헌법 수정에 관한 국민투표에서 전국 인기 과반수와 주의 과반수(Ständemehrde / majorité des cantons프랑스어)가 필요한 경우, 반주의 인기 투표 결과는 다른 주의 절반만 계산된다(헌법 제140조, 142조).[35]
1831년부터 1833년 사이에 슈비츠주는 (내부) 슈비츠와 분리된 외부 슈비츠로 나뉘었으나, 연방에 의해 재통합되었다.
20세기에는 일부 주라 분리주의자가 주라 주의 새로운 주를 북주라와 남주라의 반주로 나누는 것을 제안했으나,[37] 북주라는 (완전한) 주라 주가 되었고, 남주라는 베른 주에 베른 주라로 남았다.
6. 주 목록
스위스에는 26개의 주가 있으며, 그 중 6개는 반주(半州)이다. 1999년 스위스 연방 헌법 개정으로 반주법이 폐지되어 주의 독자성이 인정되었지만, 연방 평의회 대표 수는 기존 주가 2명, 반주가 1명으로 차이가 있다.[19]
주기 | 약자 | 주 명칭 | 연방 가입 연도 | 주도 | 인구1 | 면적 (km2) | 인구 밀도2 | 지방 자치체 수1 | 공용어 |
---|---|---|---|---|---|---|---|---|---|
ZH | 취리히 | 1351년 | 취리히 | 1,228,600 | 1,729 | 701 | 171 | 독일어 | |
BE | 베른 | 1353년 | 베른 | 947,100 | 5,959 | 158 | 399 | 독일어, 프랑스어 | |
LU | 루체른 | 1332년 | 루체른 | 350,600 | 1,493 | 233 | 107 | 독일어 | |
UR | 우리 | 1291년 | 알트도르프 | 35,000 | 1,077 | 33 | 20 | 독일어 | |
SZ | 슈비츠 | 1291년 | 슈비츠 | 131,400 | 908 | 143 | 30 | 독일어 | |
OW | 옵발덴 | 1291년 | 자르넨 | 32,700 | 491 | 66 | 7 | 독일어 | |
NW | 니트발덴 | 1291년 | 슈탄스 | 38,600 | 276 | 138 | 11 | 독일어 | |
GL | 글라루스 | 1352년 | 글라루스 | 38,300 | 685 | 51 | 28 | 독일어 | |
ZG | 추크 | 1352년 | 추크 | 100,900 | 239 | 416 | 11 | 독일어 | |
FR | 프리부르 | 1481년 | 프리부르 | 239,100 | 1,671 | 141 | 242 | 프랑스어, 독일어 | |
SO | 졸로투른 | 1481년 | 졸로투른 | 245,500 | 791 | 308 | 126 | 독일어 | |
BS | 바젤슈타트 | 1501년 | 바젤 | 186,700 | 37 | 5,072 | 3 | 독일어 | |
BL | 바젤란트 | 1501년 | 리슈탈 | 261,400 | 518 | 502 | 86 | 독일어 | |
SH | 샤프하우젠 | 1501년 | 샤프하우젠 | 73,400 | 298 | 246 | 34 | 독일어 | |
AR | 아펜첼아우서로덴 | 1513년 | 헤리자우3 | 53,200 | 243 | 220 | 20 | 독일어 | |
AI | 아펜첼이너로덴 | 1513년 | 아펜첼 | 15,000 | 173 | 87 | 6 | 독일어 | |
SG | 장크트갈렌 | 1803년 | 장크트갈렌 | 452,600 | 2,026 | 222 | 90 | 독일어 | |
GR | 그라우뷘덴 | 1803년 | 쿠어 | 185,700 | 7,105 | 26 | 211 | 독일어, 로만슈어, 이탈리아어 | |
AG | 아르가우 | 1803년 | 아라우 | 550,900 | 1,404 | 388 | 232 | 독일어 | |
TG | 투르가우 | 1803년 | 프라우엔펠트 | 228,200 | 991 | 229 | 80 | 독일어 | |
TI | 티치노 | 1803년 | 벨린초나 | 311,900 | 2,812 | 110 | 244 | 이탈리아어 | |
VD | 보 | 1803년 | 로잔 | 626,200 | 3,212 | 188 | 382 | 프랑스어 | |
VS | 발레 | 1815년 | 시옹 | 278,200 | 5,224 | 53 | 160 | 프랑스어, 독일어 | |
NE | 뇌샤텔 | 1815년 | 뇌샤텔 | 166,500 | 803 | 206 | 62 | 프랑스어 | |
GE | 제네바 | 1815년 | 제네바 | 414,300 | 282 | 1,442 | 45 | 프랑스어 | |
JU | 쥐라4 | 1979년 | 들레몽 | 69,100 | 838 | 82 | 83 | 프랑스어 |
주:
7. 각 공용어에서의 주 이름 목록
약칭 | 독일어 | 프랑스어 | 이탈리아어 | 로망슈어 |
---|---|---|---|---|
AG | Argovie | Argovia | ||
AI | Appenzell Rhodes-Intérieures | Appenzello Interno | ||
AR | Appenzell Rhodes-Extérieures | Appenzello Esterno | ||
BS | Bâle-Ville | Basilea Città | ||
BL | Bâle-Campagne | Basilea Campagna | ||
BE | Berne | Berna | ||
FR | Fribourg | Friburgo | ||
GE | Genève | Ginevra | ||
GL | Glaris | Glarona | ||
GR | Grisons | Grigioni | ||
JU | Jura | Giura | ||
LU | Lucerne | Lucerna | ||
NE | Neuchâtel | Neuchâtel | Neuchâtel | |
NW | Nidwald | Nidvaldo | ||
OW | Obwald | Obvaldo | ||
SH | Schaffhouse | Sciaffusa | ||
SZ | Schwyz (or Schwytz) | Svitto | ||
SO | Soleure | Soletta | ||
SG | Saint-Gall | San Gallo | ||
TG | Thurgovie | Turgovia | ||
TI | Tessin | Ticino | ||
UR | Uri | Uri | ||
VS | Valais | Vallese | ||
VD | Vaud | Vaud | ||
ZG | Zoug | Zugo | ||
ZH | Zurich | Zurigo |
7. 1. 주 이름 목록 (표)
Standesfarben|슈탄데스파르벤|주 문장 색de(백만 CHF)
(CHF)
(1km2)
(명/1km2)